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부산의 한 폐수 처리업체가 반출한 '중금속 폐기물'로 비료를 만들었다는 소식, 어제 전해드렸죠. <br> <br>이 비료를 만든 업체는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는데, 사실이 아니었습니다.<br> <br>완제품에서도 기준치의 30배가 넘는 중금속이 나왔습니다. <br> <br>배영진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피혁 업체 40여 곳이 폐수처리를 위해 공동 출자한 A협동조합의 폐수 처리 공장. <br> <br>처리를 마친 폐기물에는 발암물질인 중금속 크롬이 들어있습니다. <br><br>강한 독성 탓에 1kg 당 300mg 이하인 경우만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최근 4년간 자체 검사에서 많게는 1만 천mg 이상이 검출됐는데도 그대로 반출됐습니다.<br> <br>[A 조합 내부 관계자] <br>"이거를 비료나 퇴비로 사용하게 되면 심각한 문제가 되니까, 이건 매립해야 한다고, 재활용하는 것에 대해선 반대를 했죠." <br><br>폐기물이 보내진 곳은 전북지역 한 업체. <br> <br>천연비료인 분변토를 만드는데 쓰였습니다.<br> <br>채널a 취재로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업체 측은 완제품 크롬 수치엔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사실이 아니었습니다. <br> <br>관할 지자체 특별사법경찰이 업체의 생산 현장에서 시료 5개를 채취해 검사해 보니, 모두 1kg당 1만mg 이상, 기준치 30배가 넘는 크롬이 검출됐습니다. <br> <br>이중 2개 시료는 완제품입니다. <br> <br>크롬으로 범벅된 제품이 버젓이 유통된 정황이 드러난 겁니다. <br> <br>최근 4년간 이 업체가 시중에 유통시킨 분변토는 2천7백 톤입니다. <br> <br>농장 대표는 특사경 조사에서 폐기물이 크롬 덩어리인 줄 몰랐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<br>특사경은 대표를 입건하고 분변토가 어디로 유통됐는지 파악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이재근 / 관할 지자체 폐기물 자원팀장] <br>"(유통) 관리 대장을 가지고 어디 어디 나갔는지 찾아서 적법하게 처리할 예정입니다." <br> <br>사람이 먹는 농작물에 사용됐는지도 확인중인데, 유통된 제품을 찾는대로 전량 회수할 방침입니다. <br> <br>관내 다른 분변토 업체들에 대해서도 크롬 검사를 의뢰하는 등 수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배영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현승 <br>영상편집 : 이혜진